• SEARCH

    통합검색
  • 국가유산활용학회 KHUS, Inc.
    • 학회소개
      • 회장 인사말
      • 미션과 비전
      • 연혁
      • 조직도
      • 정관
      • 오시는 길
    • 이슈페이퍼
      • 지난호 보기
      • 원고 기고 안내
    • 학회자료실
      • 총회
      • 학술대회
      • 세미나
      • 포럼
    • 학회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학회 일정
      • 행사 갤러리
      • 문의하기
    • 회원마당
      • 회원가입 안내
      • 회원 검색
      • 회원 동정
      • 회원 자료
  • 로그인
  • 국가유산활용학회 KHUS, Inc.
  • (08505)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21, 604호
  • 010-8675-2132
  • khus@khus.or.kr
  •  KHUS.OR.KR all rights reserved.
  • 학회소식
    • 학회소식 공지사항
    • 이슈페이퍼 [향유] 창간호 발간 안내

      • *.187.115.190
      • 2025.05.26 - 17:20 2025.05.23 - 13:14  47

    ‘향유’ 창간사


    이동범 (국가유산활용학회 회장)

     

    요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과 열풍이 뜨겁다. 이 비트코인의 창시자로 유력하게 주목받는 컴퓨터과학자 할 피니(Hal Finney, 1956-2914)가 비트코인의 기본 개념을 소개한 잡지가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급진적 이고 창의적인 기술자들이 모여 만든 ‘extropy’다. ex(넘어서는)+tropy(변화·발전)란 의미로, 1980년대 기 술 진보와 인간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는 철학적 관점에서 만든 신조어인데, 잡지 이름으로 이들의 경향성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사전에선 ‘생명 무한 확장론’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실제 할 피니는 루게릭병으로 죽으면서 본인의 몸을 냉동시켜버렸다. 앞으로 발전된 기술문명이 자신을 다시 일으켜 세울 것이라 확신하면서…….

    김상윤 교수는 ‘엑스트로피, 기술은 어떻게 비즈니스를 바꾸는가’ 저서에서 엑스트로피 매거진에 모인 이들이 “기술의 긍정적 활용을 통해 인간사회의 불평등, 환경문제, 생명 연장 등 인간 세상의 보편적 가치증대를 실현해보자 했고, 이를 ‘엑스트로피’라 불렀다 한다. 그들은 독특한 상상력으로 엑스트로피 매거진을 세상에 내놓고 미래 사회를 예견했는데, 그중에 비트코인 내용이 있었다”면서 현시점에서 3가지 핵심기술인 비트코 인, AI, 공간 컴퓨팅(메타버스)에 ‘엑스트로피’라는 관점을 부여했다.

    국가유산 활용을 연구하거나 현장 활동하던 이들이 모여 활용학회를 창립하고 이슈페이퍼 잡지를 내기로 했다. 학회라면 학술지를 내야지 이슈페이퍼는 뭔가? 하는 의문이 드실 수 있겠다. 그 이유를 말머리에 비트코 인과 엑스트로피에 대한 언급으로 대신하여 전하고자 한다. 

    비트코인이 등장했을 때 미국 뉴욕주 금융당국 국장이 “비트코인은 생선도 가금류도 아니다”라며 비판했고, 비트코인 연구자인 오태민 교수는 “기존에 아는 지식이 많은 사람일수록 옛것으로 새것을 규정할 수 있다는 완고한 태도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짙다”면서 비트코인 등장에 대한 부정을 ‘오리너구리’로 예를 들은 바 있다. 오리너구리는 18세기 호주에서 영국 선원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오리의 주둥이와 비버의 몸을 가진, 알을 낳지만 젖을 먹이는 동물이다. 1798년에 박제되어 유럽에 보내졌지만, 오리너구리는 인어처럼 뱃사람들 상 상일 뿐이라며 존재를 부정하다가 80여 년이 지나 분류학자들이 ‘알 낳는 젖먹이동물(난생포유류)’라는 범주 를 새로 만들어 넣기까지 ‘존재하지만 존재해서는 안 되는 동물’이었다고 소개한다.

    국가유산 활용의 역사를 보면 그 존재가 인정되기 전의 오리너구리나 비트코인과 뭐가 다를까 생각해보았다. 문화재청에서 2005년 활용정책과가 생기고, 2009년 활용국이 만들어졌다.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은 동전 의 양면과 같은 것이라고 하면서, 활용사업은 날로 양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문화재 활용은 학술적 정의의 모호성을 유지하고 연구보고서에서만 자리할 뿐, 단일법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 중앙부처의 ‘과’와 ‘국’으 로 존재하나 근거법이 없는 ‘활용’으로 유지되어왔다. 

    2024년 60여 년간 지속해온 문화재보호법 체제가 국가유산기본법 체제로 전환되며, 보존·관리 체계와 활용· 진흥 체계로 정돈되었다. 여기서 국가유산 활용은 단지 보존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가치증진 및 창출을 도모하는 방편이 되고, 국민에게 향유권을 부여함으로써 국가유산 활용은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적 방편으로 정리되었다.

    아울러 활용·진흥 분야가 복지, 정보, 교육, 홍보, 산업 등으로 체계화되며 범위도 넓어졌다. 원형 보존하는 문화재로서가 아니라 유산으로서 향유되고 현행화되는 국가유산 개념으로 전환되면 꼭 들어가야 할 항목들 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가유산의 활용은 사업적으로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전시, 교육, 체험의 경우 박물관의 유산과 지역유산이 기관별로 나뉘어 따로 운영되고, 지역 및 권역 단위 활용은 정책국 산하의 교육활용과 외에 문화유산국으로 나뉘어 있으며, 신설된 자연유산국과 무형유산국에서 활용정책과 사업을 어떻게 이끌어갈지, 따로 편제된 산업육성팀은 활용사업과 어떤 연계성을 갖고 풀어갈지 숙제가 많다.

    그간 활용은 학술적 바탕보다 현실적 필요에 의해 추진되었고,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공감대를 넓혀 왔다. 하지만 그 성과물은 연구보고서나 현장 사업 이상 확장되지 못했다. 그리하여 문화유산 활용 분야 활 동가와 연구자들이 2023년 2월부터 월례 모임을 진행하면서 활용학회를 출범하기로 결의하고 지난 8월 말 문경에 모여 학회 활동들을 어떻게 담을까를 논의했다. 거기에서 활용 분야 학술 연구의 한계를 솔직히 인정 하고, 국가유산 활용 이슈는 현장이든 학술에서든 나오는 이슈들을 가지고 학회원들의 의견을 정리해서 정 기적으로 잡지를 내기로 하였다. 학술논문으로 내기에는 요건이 약하더라도 활용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면서 그 진정성과 내적 논리를 다듬어 정기적으로 내기로 하였다. 학회보의 형식을 이슈페이퍼로 가자는 것이었 다. 정기적으로 주요 이슈를 주제 글로 넣고 활용 현장의 사례, 관련 도서 및 자료 소개, 활용학회 활동 소식 등을 싣기로 한 것이다. 

    앞서 엑스토로피 잡지를 소개했듯 우리의 국가유산 활용 이슈페이퍼가 국가유산 체제로의 전환, 그 변화의 시대 속에서 유산의 활용·향유를 통해 저출산고령화, 기후 위기, 지방소멸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고, 나아가 유산의 계승과 발전, 행복 나눔, 지역 활성화 등을 실현하는 회보가 되길 기원한다.

    바로가기 https://khus.or.kr/hyangyu
    0
    0
    이 게시물을..
    • [ 2025 국가유산활용학회 학술대회 ] 개최 안내(사)국가유산활용학회
    • 국가유산활용학회 창립총회 자료집(사)국가유산활용학회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목록 목록
    • [ 2025 국가유산활용학회 학술대회 ] 개최 안내
    • 국가유산활용학회 창립총회 자료집
    • 목록
  • 학회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학회 일정
    • 행사 갤러리
    • 문의하기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이용약관
  • 국가유산활용학회 KHUS, Inc.
  • (08505)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21, 604호
  • 010-8675-2132
  • khus@khus.or.kr
  • 학회소개
    • 회장 인사말
    • 미션과 비전
    • 연혁
    • 조직도
    • 정관
    • 오시는 길
  • 이슈페이퍼
    • 지난호 보기
    • 원고 기고 안내
  • 학회자료실
    • 총회
    • 학술대회
    • 세미나
    • 포럼
  • 학회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학회 일정
    • 행사 갤러리
    • 문의하기
  • 회원마당
    • 회원가입 안내
    • 회원 검색
    • 회원 동정
    • 회원 자료
 KHUS.OR.KR all rights reserved.
by OrangeDay